조회수 : 9507회
이름 : 신영경
2018-11-20 16:56:10
안녕하십니까,
세포주를 분양받아 연구에 이용면서 많이 궁금해하고, 문의주시는 ‘오염 관련 사항’을 정리하여 드립니다.
아래 내용 및 연결된 동영상을 확인하여여 세포주를 이용한 연구에 참고하십시요.
세포주간의 오염, 즉 세포주들끼리 섞이는 오염과 세포주가 다른 이름으로 잘못 기입된 경우는 눈으로 확인이 어려우며, 유전자지문확인(DNA fingerprinting analysis)을 통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에 사용하는 세포주가 올바른 세포주임을 알 수 있으며, 한국세포주은행 DNA fingerprinting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Mycoplasma 오염은 100여종의 다양한 Mycoplasma에 의해 오염이 될 수 있으며 약 0.15-0.3μm (암세포주는 약10μm)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사이즈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지 필터용 필터에(0.2μm)는 잘 걸러지지 않습니다. 또한, 광학현미경상(inverted microsocope)으로 오염을 식별되지 않으며, 전자현미경(SEM)을 통해 세포벽에 붙어있는 Mycoplasma 오염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마이코플라즈마, https://en.wikipedia.org/wiki/Mycoplasma)
현재, Mycoplasma 오염 검사 방법은 위에 설명한 현실적으는 적용하기 힘든 전자현미경 확인법, Hoechst나 DAPI로 세포의 핵을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세포주에서 DNA를 추출한 후 오염된 Mycoplasma DNA를 PCR로 증폭하여 확인하는 방법, 항원을 검출하는 ELISA방법으로 등으로 세포주에 오염된 Mycoplasma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한국세포주은행은 Hoechst나 DAPI로 핵을 염색하는 방법, PCR기반의 방법, ELISA기법을 이용한 방법을 구축하고 분양되는 모든 세포주에 대해 오염관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자들의 요구에 의해 Mycoplasma오염을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Bacteria, Yeast 와 같은 오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오염은 현미경상에서 확인되는 모습으로도 구별이 가능하므로 관찰되는 형태와 움직임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로 오염 관련 문의사항 중 ‘Black dot particle’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움직임으로 감지되는 것은 오염이 아닌 세포나 배지, 혈청 등의 debris로 배지내에서 브라운운동 (Brownian motion)을 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참고동영상, Bacteria, Yeast, Black dot, https://youtu.be/zXPiZ2XBUzE,
브라운운동 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9D%BC%EC%9A%B4_%EC%9A%B4%EB%8F%99 )
그 외 궁금하신 사항은 한국세포주은행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총게시물 : 144개(현재페이지 : 1/총 페이지 : 8)
Korean Cell Line Bank, Korean Cell Line Research Foundation,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Korea
대표자 : 박재갑 | 개인정보보안책임자 : 신영경 | 사업자 등록번호 : 208-82-03887
통신판매업 신고 제2015-서울혜화-0125호 | Tel : 82-2-3668-7915
Fax : 82-2-742-0021 | Email : kclb@kclb.kr
KCLB (C) is a registered mark of Korean Cell Line Bank. All rights reserved. 1998~2015